생산기술

production engineering

제품에 적용(구현)된 기술과 현장의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품검증, 제조공정 및 설비를 개발하고 관리합니다.

Visual Display business / production engineering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 생산기술

세계 No.1 TV, 디지털 사이니지, 모니터, 사운드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품을 제작하여 소비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최상의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모두의 미래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바로 VD사업부의 목표이자 지향점입니다.

직무 상세 소개

제품기술

  • 신제품 회로/기구 설계 검증을 통한 양산 사양 표준화
  • 자동화 생산 구현을 위한 부품/설계변경/사양/JIG/프로그램 검토를 통한 최적화
  • 공정/시장 불량에 대한 변경점 분석 및 표준화를 통한 품질 안정화

공정기술

  • 공정설비/로봇/AGV(AMR)/공장물류 자동화/검사장비 내재화 개발
  • AI 기반 공정 프로그램(조정, 검사,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등) 및 디지털트윈 개발
  • 초미세 SMD실장 기술 개발, 검증 및 표준화하여 생산성과 품질 안정화

LED 기술

  • Micro LED, The Wall 모듈 공정, 설비 운영 및 Capa 개선
  • Micro LED, The Wall, Out/Indoor LED 제품군의 Main 공정 최적화
  • 생산 품질 모니터링 및 분석하고, 양품 기준 관리 체계 구현

기술 지원

  • 법인의 기술, 생산, Capa. 증설, 공장 심사/법인 인증/KPI(Key Performance Indicator)향상 지원
  • 시장 불량 및 공정/출하 불량 분석
  • 생산법인 제조공정의 신모델 도입 및 기술 지원

관련 전공

전산/컴퓨터, 전기전자, 기계, 화학/화공, 재료/금속, 산공, 통계(이공) 등 관련 전공

digital appliances business / product Engineering

DA사업부 / 생산기술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면밀히 관찰하고 깊이 배려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여, 일상을 다채롭고 풍부하게 만듭니다.

직무 상세 소개

(수원)
제품의 생산성 및 양산성 확보를 위한 기술 지원, 제조라인 혁신 및 자동화, 생산 품질 관리 등 제조 전반에 관련된 전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직무

회로전장기술

  • 회로부품에 대하여 신제품/양산제품의 생산성/조립성/공정 검출력을 확보 및 회로부품 공급 협력사의 공정품질이 개선 될 수 있도록 지원
  • 균일 품질 확보를 위한 검사기, 검사 기술을 개발하고 검사공정의 표준화/디지털화/자동화를 추진
  • 시장 불량 개선을 위한 공정 검출력/Coverage 확대
  • 검사 공정 표준화/디지털화/자동화 추진

공정 기술

  • 생활가전 全제품(냉장고/세탁기/건조기/에어컨 등)에 대한 양산성/조립성/공정불량을 개선하고 검출력을 확보
  • JIG 설계를 진행하여 균일 공정 및 품질을 관리
  • 제조 경쟁력 개선을 위한 신기술/신공법 개발/적용
  • 부품 공급 SCM 개선을 위한 제조 모듈 설계
  • 요소기술 역량 확보(가공/용접/발포/성형/표면처리 등)

신제품 기술

  • 신제품 개발 시 기획/선행개발 단계부터 제조 라인의 생산성/조립성이 고려된 제품설계가 되도록 기술적 지원
  • 신제품 개발업무 中 양산단계 주관 운영
  • Global 생산거점 간 제조 경쟁력 관리 및 양산모델 이관 업무
(광주)
제품의 생산성 확보를 위한 기술 지원, 제조 라인 혁신 및 자동화, 공정 품질 개선 등 제조 전반에 관련된 전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직무

공장/설비 기획

  • 생산에 필요한 공장 및 생산라인을 기획하고 설계
  • 설비 용도 및 사용처에 부합하는 설비 규격/사양을 검증하여 생산라인에 적용
  • 제조 공정의 물류 흐름, 동선 등을 Simulation 및 분석하여 공장 제조 물류를 설계하고 무인 운반 기기(AGV/AMR 등)와 System을 연계한 물류 자동화 추진

자동화기술

  • 생활가전 공장 Smart Factory를 기획하고 Global Operation을 수행
  • PLC, Robot을 활용한 생산 공정 자동화 설비 설계 및 제작, 국내/외 공장 Setup 담당
  •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H/W, 설비와 관련된 제어/검사 S/W 분야 신기술 개발 및 적용

설비관리

  • 제조 현장에서 사용하는 설비의 성능/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및 유지관리
  • 설비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하여 설비 수명을 연장하고
    설비 S/W 제어를 통해 설비 동작을 개선하여 설비 효율 극대화 추진

공정기술

  • 생활가전 전 제품에 대한 생산성/조립성/공정 불량을 개선하고 불량 검출력 확보
  • 제조 경쟁력 개선을 위한 신기술/신공법 개발
  • 제조 비효율을 개선하고, 표준화를 통해 제조 경쟁력을 향상
  • 요소 기술 (가공/용접/발포/성형/표면처리 등) 역량 확보 추진

회로전장기술

  • 회로 부품에 대하여 신제품, 양산제품의 생산성/조립성/공정 검출력 확보 및 회로 부품 공급 협력사의 공정 품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
  • 균일 품질 확보를 위한 검사기, 검사 기술을 개발하여 검사공정의 표준화/디지털화/자동화 추진
  • 검사/계측 기술 확보(전력, Vision, 소음/진동 계측 등) 및 검사 S/W 검증
  • 시장 품질 확보를 위한 검사 영역 확대

관련 전공

[수원] SW, 전기/전자/화학/용접, 기계 등 관련 전공자
[광주] 전기/전자, 기계/메카트로닉스 등 관련 전공자

Mobile eXperience Business / Production Engineering

MX사업부 / 생산기술

사람 중심의 혁신으로 소비자들이 열망하는 새로운 가치와 편의를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

직무 상세 소개

MX사업부의 다양한 디바이스(Galaxy S, Foldable, Watch, Buds, Tablet 등)에 적용된 기술과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품을 검증하고, 공정 및 검사 자동화를 추진하여 개발/관리하는 직무입니다.

제품 기술

  • 신제품의 부품/설계변경/사양/Jig/프로그램을 검토하여 균일한 품질 및 공정 관리 (제품검증, 회로검증, SPEC 승인, 양산 기술 등)
  • 제조공정, 테스트/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동화 지원
  • 회로 설계, Stress 분석 및 표준화, RF 성능과 기구물 검증

자동화 기술

  • 검사 자동화 : Robot 설비를 구축, Vision Solu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검사 자동화
  • 공정 및 물류 자동화 : 제조라인/공정/Layout을 설계하고 제조 물류 자동화 기획
  • 설비 자동화 : 제조라인 조립/검사/포장/물류 자동화 설비 개발 및 구축

설비 기술

  • 생산설비 설계 및 개발관리, 설비제작, 공정/제조설비 유지 보수 및 개선
  • Big Data 분석을 활용한 물류 운영 최적화

공정 기술

  • 공정 개선(전기물, 기구물), 신기술 적용에 따른 공정 기획, 양산설비(PBA, Metal, Glass, Camera 등) 제작
  • 공정 플랫폼, 검사 솔루션 개발 및 최적화 관리

기술 지원

  • 법인 생산기술지원, 법인가용량(Capacity) 증설, 공장 심사, 법인 인증 및 KPI 관리

관련 전공

기계, 전기전자, 화학공학, 재료공학 등 관련 전공

Networks Business / Production Engineering

네트워크사업부 / 생산기술

압도적 기술력과 성공적인 세계최초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5G 시대를 선도하고 세계 통신 시장으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직무 상세 소개

체계적인 생산계획 수립을 기반으로 국내 및 해외 생산 공장의 전반적 생산관리를 통해 양질의 제품 생산 지원, 조립/시험/포장/물류 생산혁신을 위한 자동화 설비 개발, 도입 및 운영하는 직무

제조 기술

  • SMD 실장기술 개발, 검증 및 표준화하여 생산성 및 품질 안정화
  • SMD/PBA 생산에 필요한 공장/생산라인 전반의 설비 투자기획
  • 신제품 Jig 설계 및 제작으로 균일한 품질 및 공정관리
  • 신규 모델 양산성 검증, 제조 공정도 및 작업 지도서 제정 및 개정
  • 제조 경쟁력 개선을 위한 신기술/신공법 개발 및 생산라인 적용

시험 기술

  • 제품 생산을 위한 시험 장비 개발, 제작, 자동화
  • 시험 프로그램 Platform 개발, Test Network 구축, 관리
  • 신규 시험기술 (Calibration/기능/RF 송수신/OTA Test) 발굴 및 최적화

자동화 기술

  • 제품 생산을 위한 공정 분석 및 설계 (DFMA, 인프라, 물류, Jig)
  • 자동화 설비 개발
    - 설비 제어 : 로봇제어, PLC 및 윈도우 기반(C#,C/C++) 제어 프로그램 개발
    - Visual 검사 : 딥러닝 기반 비전검사 설비 개발
    - 기구설계 : 2D/3D 기반 자동화 설비 기구설계
  • Digital Twin 설계 및 구축, G-MES 시스템 기반 생산 관리

관련 전공

기계, 전산/컴퓨터, 전기전자, 산업공학, 화학, 소재 등 관련 전공